• 돌아가기
  • 아래로
  • 위로
  • 목록
  • 댓글

지유형 체크 포인트

오작교 311

0

0

Screenshot_20220909-105632_Gallery.jpg

 

 

유형 체크 포인트

▶킥

1. 물보라는 어떤가.

철썩철썩 요란한 물보라는 절대로 불가.

더욱 나쁜 것은 무릎과 발목의 힘이 빠지지 않아 푸드득푸드득 하고 정강이로 물을 차고 있는 것 같은 킥이다.

2. 무릎에 힘이 너무 들어가 있지 않은가.

무릎과 발목에 불필요한 힘이 들어가 있으면 물보라가 많은 서투른 킥이 되고 피로하기 쉬워 오래 계속할 수가 없다. 곧 킥이 무너져 버리는 사람은 무릎과 발목의 탄력에 유의하자.

3. 발 전체를 효율적으로 쓰고 있는가.

넓적다리로 친다.... 이것을 항상 잊지 않도록 한다.

발목을 확실히 뻗고 발등으로 물을 푸시하고 있는지 어떤지도 중요하다.

이것이 되어 있지 않은 것도 요란한 물보라의 원인이 된다.

▶몸 전체

4. 몸은 슈퍼맨인가.

구부정한 자세,묘하게 뒤로 젖힌 몸은 금기이다.

아무리 해도 몸이 바로 뻗지 않는 초심자는 다시 한 번 물장구에서 부터 연습을 반복하는 것이 좋다.

▶팔의 상태

5. 엘보우 업은 되어 있는가.

팔꿈치에서 나오고 있는가,수상에서는 팔꿈치가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가,손 끝이 유연하게 있는가가 포인트이다.

입수와 동시에 손이 바로 뻗는지 어떤지도 이것으로 결정된다.

6. 수중의 팔꿈치는 구부러져 있는가.

물방아나 외륜선과 같은 움직임으로는 추진력을 벌 수 없다는 것을 상기하기 바란다.

입수하면 팔꿈치를 구부리고 가장 힘을 발휘하기 쉬운 상태에서 물을 젓는다.

7. 손바닥은 둥글지 않은가.

손바닥을 의식적으로 둥글게 하면 손의 다른 부분에도 불필요한 힘이 들어가고 반대로 손가락이 벌어져 있으면 물을 잡을 수 없다.

▶눈

8. 눈은 뜨고 있는가.

기본중의 대기본이다. 본인은 눈을 뜨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입수의 순간이나 얼굴이 수중에 있을 때에 감아버리는 경우가 있다. 풀의 코스 라인등 무언가를 보면서 헤엄치자.

▶호흡

9. 공기를 확 들이 마실 수 있는가.

곧 호흡이 곤란해지는 것은 모양만 되어있고 확실하게 숨을 들이 마시지 못한 증거.

"공기를 먹는다."즉, 단숨에 들이 마시자.

 

 

자유형의 기술동작은 8가지나 됩니다.

 

① 물잡기(Catch Up)

 

핸드 투 핸드(Hand To Hand)라고 한다. 양손을 얼굴 앞에 뻗어 모으고 킥을 하다가 한손을 스트록하고 팔을 되돌려 앞에 있는 다른 손위에 옮겨 놓은 것을 반복한다. 팔을 돌릴시에 팔꿈치의 각도(Elbaw Up)가 안될 때는 엄지손가락을 세워서 겨드랑이 아래에 닿을 때까지 잡아당기고 거기에서 엄지손가락을 원위치하고 손을 전방으로 옮긴다. 스트록을 연마하고 킼의 타이밍을 합한다.

 

 

② 머리들고 수영(Head Up Swim)

 

머리를 수면 위로 높이 들어서 자신의 입수(Entry)와 되돌리기(Recovery)를 자기의 눈으로 확인하면서 헤엄친다. 스피드를 내는데 필요한 유선형(Stram Line) 자세를 만들고 예리하고 깊은 킥을 연습한다. 손의 입수(Entry) 각도와 물을 잡아주는 동작을(Catch Point) 자신의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올바른 팔꿈치 각도를 연출 할 수 있다.

 

 

③ 한손 풀 동작(Scooter)

 

한쪽 팔을 앞으로 뻗거나 몸에 붙이고 한손 팔만으로 스트록을 계속한다. 이때에 킥, 호흡, 로우링은 보통으로 한다. 팔을 뻗은 쪽으로만 로우링을 하기 쉬우므로 충분한 주의를 요한다. 밸런스가 좋은 호흡과 팔다리의 정확한 타이밍 습득에 좋다. 이방법은 타 영법에서도 행할 수 있는 드릴이다.

 

 

④ 주먹쥐고 수영(Fist Swim)

 

주먹 쥐고 헤엄치는 방법으로 팔 전체로 스트록하는 감각을 기른다.

 

 

⑤ 되돌리기 기술(Recovery Drill)

 

손끝으로 수면을 스치고 옆구리를 엄지손가락으로 어루만지는 감으로 리커버리하며 엘보우 업에 주의 하며 헤엄친다.

 

 

⑥ 벽 이용 수영(Wall Swim)

 

어깨를 풀 벽에서 헤엄치는 방법으로 호흡은 벽쪽을 향하고 손끝을 수면에 스치면서 리커버리 한다.

 

 

⑦ 팔꿈치 수영(Chicken Wing)

 

엄지손가락을 겨드랑이 아래에 대고 킥으로 전진하고 양측으로 호흡하면서 팔꿈치를 빙글빙글 돌린다. 스트록을 하려는 의식을 없게 하고 팔꿈치를 높게 하여 헤엄친다. 리커버리 연습에 도움이 된다.

 

 

⑧ 로우링 프리(Rolling Free)

 

개 헤엄(Dog Paddle) 크로올에 스트록처럼 앞에서부터 뒤까지 당기고 물속에서 리커버리 한다. 스트레치 아웃 로우링(Stretch Out Rolling) 몸을 좌측으로 눕히고 왼팔을 머리 위로 뻗고 오른팔을 몸에 붙이고 스트록을 10회 한 후에 왼손을 수중으로 스트록하는 동시에 오른손은 리커버리하여 앞으로 뻗으면서 오른쪽으로 몸을 눕힌 수 킥을 차는 방법을 반복함으로서 바른 로우링과 스트록을 연습한다.

신고공유스크랩
0
댓글 등록
취소 댓글 등록

신고

"님의 댓글"

이 댓글을 신고하시겠습니까?

댓글 삭제

"님의 댓글"

삭제하시겠습니까?

목록

공유

facebooktwitterpinterestbandkakao story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image
오작교 23.05.31.20:29 311
3
image
오작교 23.05.31.20:26 297
2
image
오작교 23.05.31.20:16 293
1
normal
오작교 23.05.31.20:13 267